2024. 10. 2. 22:44ㆍ자격증 취득!
알기사 1200제 풀면서 틈틈히 CBT로 모의고사를 한두번씩 돌리는데,,
이젠 그래도 기출을 몇번 돌렸다고,,, 평균 60점은 넘는데 그래도 아직 모르니,,,
내일까진 기출문제 다 훑어보고 주말에 이론 가볍게 훑어봐야겠다...
이동형 단말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고안된 통신 규약
WPA
무선 전송계층 보안을 위해 적용한다.
WTLS
장시간 활용하는 세션을 정의하고 세션 관리를 위해 suspend/Resume 기능과 프로토콜 기능에 대한 협상이 가능하다.
WSP
IEEE 802.11i 표준에 정의된 보안규격으로 RC4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WPA
SCAN (순차 검색)
SCAN은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한 방향으로 모든 요청을 처리한 다음, 그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의 모든 요청을 처리한다.
엘리베이터 알고리즘이라고도 불리며, 엘리베이터처럼 움직여 순서대로 요청을 처리한다.
SCAN은 디스크 암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요청에 대해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SSTF (최단 탐색 시간 우선)
SSTF는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디스크 암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처리한다.
평균 탐색 시간을 최소화하며, SCAN과 FCFS 알고리즘의 좋은 점을 절충한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SSTF는 디스크 암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요청에 대해서는 무한정 대기할 수 있다.
C-SCAN (원형 순차 검색)
C-SCAN은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한 방향으로 모든 요청을 처리한 다음, 디스크의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다시 한 방향으로 모든 요청을 처리한다.
SCAN과 유사하지만, C-SCAN은 항상 특정한 순서로 요청을 처리하여 모든 요청에 대해 균일한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C-SCAN은 디스크 암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요청에 대해서도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FCFS (선입선출)
FCFS는 디스크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요청이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처리한다.
간단하고 구현하기 쉬운 알고리즘이지만, 디스크 암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요청에 대해서는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FCFS는 요청이 디스크에서 어디에 있는지 고려하지 않으므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이란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 상에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운영체제는 시스템의 디스크 파티션 상에 파일들을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저장하는데 파일 시스템은 이러한 규칙들의 방식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중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이 아닌 것은? EXT3는 리눅스고 FAT16, FAT32, NTFS는 윈도우다.
아오 너무 어려워
이제 일주일 남았는데 ㅠㅠㅠ
혹여 안된다고 해도 낙담하지말자,... 아직 시간 남았으니까 최선 다해서 응시하자...
'자격증 취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0250330 - SQL 공부 보완과 SQLD 결과 나옴. (0) | 2025.03.30 |
---|---|
TIL 20250309 -SQLD 응시 후기 (0) | 2025.03.09 |
TIL 20240907 - 리눅스 마스터 2급 시험 (1) | 2024.09.07 |
TIL 20240801 - 정처기 실기 응시 (0) | 2024.08.01 |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