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109

개발일지 109

  • 분류 전체보기 (208)
    • 회고록 (1)
    • 개발일지 (62)
    • 오류 극복기 (12)
    • 코틀린 (24)
    • 스프링 (31)
    • 자바 (5)
    • 코딩테스트 (19)
    • HTTP (11)
    • OAUTH (1)
    • 자격증 취득! (6)
    •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12)
    • 미니프로젝트 (6)
    • 최종 프로젝트 (10)
    • 책 읽기 (1)
    • 아무도 안궁금한 근황 (1)
  • 홈
  • 태그
  • 방명록
  • 개발일지
  • 오류 극복기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개발일지 109

컨텐츠 검색

태그

코틀린 코루틴 정보보안기사 KPT 회고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자바 javascript 미니프로젝트 스파르타 sql kotlin JWT 등급변경 오류 개발일지 GraphQL 오류극복 내배캠 예외처리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스프링(31)

  • TIL 20240215 - 대용량 프로젝트(GIGABOX) (2)

    crud를 하는 와중에는 크게 어려움은 없었다. 게시글 정도의 crud는 그동안 해왔던 거랑 크게 차이가 없으니까 그래서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해두었다. 근데 나는 왜 매번 삭제 로직에서 바보 같은 실수를 하는 것일까? 이전에는 테스트를 하던 중 삭제가 안되는 것이다,, 그래서? 왜 안되지 하고 찾아본 결과,, 내가 삭제로직을 작성해두지 않은 상태에서 했기때문에 그랬던 것이다....후 더 누누히 살펴봐야 한다는 반성을 했ㄴ는데!!!!!! 이번에도 삭제 로직에 실수를 하고 만것이다,,, ㅠㅠ 으 바보 fun deletePost( @PathVariable postId: Long, ): ResponseEntity { postService.deletePost(postId) return ResponseEntity...

    2024.02.15
  • TIL 20240214 - 대용량 프로젝트(GIGABOX) (1)

    이제 최종 프로젝트 하기 전 마지막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대용량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데, 캐시와 레디스를 이용해보는 것 같았다. 잘 모르는 개념이라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공부를 하게 돼서 다행이다. 일단 오늘은 첫날인만큼 기획에 힘을 썼다. 대용량인만큼 한번에 많은 인원들이 접속이 가능한 주제를 염두해야했기때문에 사실 이전과는 다르게 주제 하나 선정하는 것만으로 어려웠고! 팀원분이 특정 "예매"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주셔서 영화 예매로 주제를 정하게 되었다. 근데 생각해보니 그냥 단순한 영화 예매보단? 아이돌 콘서트 티켓팅처럼 한번에 모든 사람이 몰리는 특정한 경우로 경쟁률을 높일 수 있는게 영화 시사회라고 생각했으므로! 의견을 제시했더니 다행히 팀원분들도 좋다고 해주셨다 ㅎㅎ 주제 하나 ..

    2024.02.14
  • TIL 20240211 - Projection이란?

    저번 주에 강의를 쭉 듣고 첨들어본 개념들을 다시 정리하기 위해서 복습하는 느낌으로 공부하고 있다,, 설날연휴 와중에도 열중하는 나,, 좀 멋있을지도,,? projection? 사전적 의미로는 투사, 예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고, jpa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출력할 때 Column을 제한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SELECT * FROM Team; // Non-Projection SELECT name, age FROM Team; // Projection 이처럼 *는 전체를 뜻하는 것으로 위부분은 projection이 아니지만 아래는 Team의 name, age를 가져오는 것으로 특정된 것만 가져오는 쿼리문을 작성하였으므로 projection에 해당된다. 그나저나 왜일까? 그저 En..

    2024.02.11
  • TIL 20240206 - ORM이 필요한 이유?

    이전에 nodejs를 혼자 따로 공부했을 때 ORM을 정리했었다.. 그때 당시엔 그냥 이런 개념도 있구나 정도로 넘어가고 말았지,, 굳이.. 이게 왜 생겼고 쓰는 이유에 대해서는 생각을 못해본거 같다. 과거의 나 반성해,, 이뿐만 아니라 사실 개발 공부를 하면서 왜 이런게 생겨났을까? 왜 필요할까? 왜 이럴때 사용하는 걸까? 라는 의문점을 가지면서 내내 공부한 것보단 그냥 중요하니까? 그냥 다들 하니까? 이런식으로 해왔던 것 같다... 과거는 이렇게 묻어두고..흑 바로 당장은 바뀌기 힘들겠지만,, 이제부터라도 왜?? WHY?를 중점을 두고 생각하는 습관을 길들여야겠다 ㅠㅠ 서론이 길었지만! 무튼 ORM에 대해서 왜 생겼는지! 왜 필요한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고 이에 대해 기록해보고자 한다! 우선 Spr..

    2024.02.06
  • TIL 20240130 - repository impl를 만든 이유?

    어제 발표 후에 다른 분들 코드를 보면서 공부하였다. 나는 안해본 기능들도 있었고,,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까지도 하셨던 분들이 있어서 나중에 나도 참고해보고 싶어서 공부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repository 마저도 나눠서 impl를 만드신거 보고 의아했다.. ? 왜 굳이 나눠서 하신걸까? 해서 오전에 질문을 드렸더니 알려주려 오셨다. 음,, 간단하게 설명을 들었는데! 마치 컨트롤러도 강한 결합때문에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주입 받는거처럼 서비스도 역시 레포지토리 인터페이스를 주입 받는 것이 강한 결합을 낮출 수 있다고 말이다. 왜냐면 혹여라도 디비를 바꾸게 되거나 jpa를 더 안쓰게 되면.. 바꿔야하는데 현재 상태는 강한결합으로 변경이 있을시 모든걸 바꿔야 하므로 impl만 수정할 수 있게 결합도를 낮..

    2024.01.30
  • TIL 20240129- 백오피스 프로젝트 KPT 회고

    이렇게 또 한주의 프로젝트가 막을 내렸다. 사실 음 많은 것을 했던 프로젝트가 아니라서 얻어가는 게 있을려나? 라는 의문이 들지 않았다면 거짓말이다. 저번이랑 사실 크게 다를 바 없었으니까,, 그나마 변한건 그래도 다 같이 모르는 부분이나 잘 안되는 부분을 공유하는 것이 활발해졌고 이로 인해 해결하는 일도 꽤 있었던거? 다 마치고 난 소감을 보면 좀 오산이었다.. 이번에도 얻어가는 게 없진 않았다... 팀원 분이 a라는 업무를 도전한다고 했을때 앗,, 그건 좀,, 이런 분위기가 아니라 당신을 할 수 있어요! 막히는 거 있으면 같이 해결해보자구요! 이런게 존재했던 것 같다! 든든한 동료분들이 있어서 오류를 해결 할때 마냥 괴롭진 않았다. 회고를 정리해보자면, Keep 매번 먼저 다가가 소통을 잘 하려고 했..

    2024.01.29
이전
1 2 3 4 ··· 6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