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109

개발일지 109

  • 분류 전체보기 (208)
    • 회고록 (1)
    • 개발일지 (62)
    • 오류 극복기 (12)
    • 코틀린 (24)
    • 스프링 (31)
    • 자바 (5)
    • 코딩테스트 (19)
    • HTTP (11)
    • OAUTH (1)
    • 자격증 취득! (6)
    •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12)
    • 미니프로젝트 (6)
    • 최종 프로젝트 (10)
    • 책 읽기 (1)
    • 아무도 안궁금한 근황 (1)
  • 홈
  • 태그
  • 방명록
  • 개발일지
  • 오류 극복기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개발일지 109

컨텐츠 검색

태그

오류 sql 코루틴 내배캠 kotlin 개발일지 GraphQL 스파르타 JWT 정보보안기사 javascript 코틀린 자바 미니프로젝트 회고 KPT 예외처리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등급변경 오류극복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JWT(2)

  • TIL20231231

    어제에 이어서 정리를 해보자면, 서버의 확장성이라는 중요한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세션 기반 인증 보다는 토큰 기반의 인증을 대부분 사용한다고 한다! 이러한 토큰은 어떤 형태든 될 수 있지만, JWT(JSON Web Token) 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JWT는 XXXXX.YYYYY.ZZZZZ 형태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토큰이다. XXXXX 부분은 헤더(Header), YYYYY 부분은 내용(Payload), ZZZZZ 부분은 서명(Signature) 이다. 단순한 문자열인데 왜 Json Web Token 이라고 하는걸까? 헤더와 페이로드 부분이 사실은 JSON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JSON 자체를 단순한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해 base64 라는 인코딩을 사용한다. 헤더(Header) alg..

    2023.12.31
  • TIL 20231230

    스프링 심화(인증/인가 파트) 들어가기 전에 맛보기 느낌으로 간략하게 인증 방식에 대한 지식을 배웠다.. 음 예전에도 로그인 관련된 걸 했을때 살짝 해봤던 것 같은데,, 그땐 제대로 했던게 아니라서,, 정확히 어떤식으로 했는지 기억이 나진 않는다.. 그래서 그 이후를 반성해서 배운 걸 정리하고 앞으로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학습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인증 방식의 종류 쿠키/ 세션 기반인증 HTTP는 기본적으로 Stateless한 특성을 지닌다. 클라이언트가 특정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알맞은 응답을 보내는 게 다인데,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다음 요청에서 포함하도록 설계되어있지는 않다. 이러한 특성을 해결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다. 클라이언트가 로그인을 요청하면, ..

    2023.12.30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