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109

개발일지 109

  • 분류 전체보기 (207)
    • 회고록 (1)
    • 개발일지 (62)
    • 오류 극복기 (12)
    • 코틀린 (24)
    • 스프링 (31)
    • 자바 (5)
    • 코딩테스트 (19)
    • HTTP (11)
    • OAUTH (1)
    • 자격증 취득! (6)
    •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12)
    • 미니프로젝트 (6)
    • 최종 프로젝트 (10)
    • 책 읽기 (1)
    • 아무도 안궁금한 근황 (1)
  • 홈
  • 태그
  • 방명록
  • 개발일지
  • 오류 극복기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개발일지 109

컨텐츠 검색

태그

예외처리 자바 회고 오류 미니프로젝트 JWT 정보보안기사 개발일지 sql 오류극복 GraphQL 코틀린 스파르타 내배캠 kotlin 등급변경 충청 ICT취창업 역량강화프로그램 KPT javascript 코루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GraphQL(2)

  • 개발일지(스키마 작성부터~)

    이어서 해보자면, 스키마를 작성해보기로 했다. const schema = buildSchema(` type Query { post:[Post], comments:[Comment] } type Post { id:ID! title:String! description:String! comments:[Comment] } type Comment { id:ID! text:String! likes:Int } `); !는 무조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int는 0으로 없을 수도 있을 때도 쓸 수 있다.. ID 값을 사용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를 보면 참고가 될 것이다. Scalar types으로 보면 된다고 했다. 추가로 rootValue를 작성해준다. const root = { posts: [ { id:'post1..

    2023.11.07
  • GraphQL?

    GraphQL 2012년 페이스북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API용 쿼리언어다. API의 데이터에 대한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것을 정확하게 요청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데이터를 묘사하고 클리언트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에서 예측한 데이터를 받아온다. 사실 REST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왔고, 이보다 전체적으로 나은 건 아니기때문에 각자 상황에 맞게 더 나은 것을 사용 하면 된다. 이 사진을 보면, 스타워즈를 예시로 들어 한번에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장점 주로 개발 과정은 백엔드 개발자가 REST API 개발을 마치고 그 후에 프론트 엔드 개발자가 그 API에 호출해서 받아온 데이터를 이용해서 화면에 데이터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것..

    2023.11.03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