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21. 20:31ㆍ개발일지
요새 코테를 하루에 한 번 이상은 풀려고 하고 있고
그래도 이제 거의 2주 남짓 넘은 것 같다,,,
코테는 중요하니 앞으로도 풀 예정인데,,
풀다가 의문이 들었다..
다른 분 코드를 참고하니 대문자나 소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toUpperCase() 와 uppercase()를 번갈아 쓰는거 아니겠는가?
둘 다 똑같이 대문자로 바꿔주는거, 소문자로 바꿔주는건 알겠으나,,
어떨땐 toUpperCase()는 안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고,, 뭐가 다른지 궁금해서 검색해봤다.
그래서 검색한 결과를 여기에 정리를 해보고자 하는데
공식문서 를 확인 결과,
지역에 따라 약간의 버그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튀르키예어 로케일에서 i를 toUpperCase()를 사용하여 변환을 시키게 된다면 I가 아니라 튀르키예어의 İ로 변환된다고 한다. 그렇지만 새롭게 나온 uppercase()를 사용하면 지역에 상관없이 대문자로 변환이 된다!!!!
uppercase()에 인자로 Locale.getDefault()를 pass한다면 toUppercase()와 동일하게 로케일에 따라 다르게 변환할 수 있다.
참고로 uppercase()로 toUppercase()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uppercas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toLowerCase() 와 lowercase() 도 마찬가지로 이에 해당이 된다!!
이로써 수수께끼가 풀렸다,,, 하핫
뭔가 앞으로 쓸거면 uppercase() 나 lowercase() 를 쓰는 방향으로 해야겠다싶다 ㅎ
그래도 덕분에 지식 +1 됐다
굿굿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40609 반복문에서 ..와 until의 차이 (1) | 2024.06.09 |
---|---|
TIL 20240530 length와 size의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4.05.30 |
WIL 20240519 (0) | 2024.05.19 |
TIL 20240317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0) | 2024.03.27 |
WIL 20240324 (0) | 2024.03.24 |